CBNU Inventor’s Lab
▪ 기관지 확장증의 조기 진단과 치료를 돕는 진단키트 개발 등 의학 분야에 기여하고자 함.
▪ 기초 연구와 임상 연구를 동시에 진행하기 때문에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, 다양한 연구 주제를 폭넓게 탐구할 수 있음.
▪ 기관지확장증 급성악화와 관련된 바이오마커 품목허가용 탐색/확증 임상 계획 수립 및 진행
▪ 기관지확장증 환자 검체를 통한 정량 비교 및 LC-MS/MS 분석
본 기술은 기관지확장증 환자의 급성악화를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 마커에 관한 것으로서,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관지확장증의 급성 악화 상태에 대한 바이오마커로서의 미엘로퍼옥시다제 및 이의 급성 악화 상태의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 용도에 관한 것
1. 연구 진행 상황
▪ 충북대 병원 호흡기 내과 양범희 교수는 기관지 확장증 관련 호흡기 연구 분야에서 권위있는 아산병원 및 충북대 병원에 근무하는 동안 다수의 학술논문을 발표하였음. 전국에 소재한 다수의 임상 관련 분야 연구자들과 공동 연구를 수행 중.
▪ 임상 연구에 참여하게 될 기관지 확장증 환자 Pool을 확보하고 증상의 모니터링 및 객담 샘플 내 Myeloperoxidase의 임상적 유효성을 확인하고자 함.
2. 기관지확장증 및 호흡기질환 바이오마커 발굴
▪ 본 바이오마커 (Myeloperoxidase, MPO)가 기관지확장증 외 다른 호흡기 질병 (비결핵 항산균 폐질환 (NTM), 기관지 폐렴 등) 에도 중요한 요인인지 임상적 검증 작업을 진행할 예정임.
▪ 임상적 유효성이 확인 될 경우 다른 호흡기 질병 진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.
4. 본 연구팀 참여 현황
▪ 본 연구팀은 20명의 기관지 세척액을 모아 기관지확장증 급성악화 및 안정 환자의 proteomes analysis를 진행하였음.
▪ 이 결과 유럽에서 발견된 마커뿐 아니라 다른 연관 마커들을 발견하였으며 pilot study 로 발표 계획임.
3. 기관지확장증 진단키트의 해외시장 진출계획
▪ 사업역량의 확대를 위하여 본 사업으로 개발될 시분할 형광 측정기 외에 자체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진단키트의 사업화를 위하여 진단시약 제조업체와의 협업도 지속적으로 진행할 계획임.
▪ 새로운 시작의 발굴과 개척을 위하여 KOTRA를 통한 해외 바이어 목록을 확보하여 적극적으로 제품을 홍보할 계획이며 해외의 유명한 의료기기 전시회에도 참가와 참관을 계획하고 있음.
5. 연구 기대 효과 1
▪ 현재까지, X-ray 진단과 기본적인 활력지표들 이외에 기관지 확장증 환자의 진단 및 예후 등을 모니터링하는데 분자적인 진단 수단이 미흡한 실정.
▪ 본 연구를 통해 기관지 확장증과 관련된 바이오마커 (Myeloperoxidase)로 급성 폐 부전 등의 예후 증상 발현 과정에서 환자에 대한 선제적/치료약물 선택에 진단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, 이 질환으로 인한 희생과 의료비용을 최소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.
▪ 또한, 본 바이오마커의 용도에 관한 특허를 출원하고 향후 등록하여 지적 재산권을 확보할 계획.
6. 연구 기대 효과 2
▪ 정량적 : 본 의료기기의 품목허가 획득 후 제품의 지속적인 성능 개선을 위해 추가 연구인력을 고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.
▪ 정성적 : 성공적인 본 의료기기의 임상적 유효성 확보로 체외 진단 시장 내 국내 호흡기 질병 진단 시장을 새로 개척하고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이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가 기대됨.
7. 기술 적용 활용분야 및 활용방안
▪ 기관지 급성 악화 기관지 확장증과 관련된 바이오마커 (Myeloperoxidase) 진단키트의 임상적 유효성 확인 및 품목허가 획득.
▪ 기관지확장증 외 다른 호흡기 질병 (비결핵 항산균 폐질환 (NTM), 기관지 폐렴 등) 에도 중요한 요인인지 임상적 검증 작업 추진.
▪ 품목허가를 획득한 정량/정성키트의 경우 정성키트는 환자가 직접 집에서 테스트를 할 수 있고, 악화 판정 시 의료기관에서 정량키트로 추가적으로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는 구조로 활용.
8. 지식재산권 확보 및 보호 계획
▪ 기관지 확장증과 관련된 바이오마커로 급성 폐 부전 등의 예후 증상 발현 과정에서 환자에 대한 선제적/치료약물 선택에 진단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, 이 질환으로 인한 희생과 의료비용을 최소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.
▪ 또한 본 바이오마커의 용도에 관한 특허를 출원하고 향후 등록하여 지적 재산권을 확보할 계획.